태양 없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양 없이》는 1983년에 제작된 크리스 마커의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16mm 카메라와 휴대용 테이프 레코더를 사용하여 촬영되었으며, 아이슬란드 화산과 다른 영화 제작자들의 푸티지를 차용했다. 영화는 모데스트 무소르그스키의 연가곡집에서 제목을 가져왔으며, T. S. 엘리엇과 장 라신의 문구를 인용했다. 앨프레드 히치콕과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의 작품을 참고했으며, 카사비안의 곡에 사용되기도 했다. 비평가들의 극찬을 받았지만, 일부 평론가들은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기도 했다. 프랑스어, 일본어, 독일어, 영어 등 다양한 언어로 제작되었으며, 각 언어판마다 다른 해설자가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콜라주 영화 - 아이 엠 낫 유어 니그로
라울 펙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아이 엠 낫 유어 니그로》는 제임스 볼드윈의 미완성 원고를 바탕으로 새뮤얼 L. 잭슨의 내레이션을 통해 말콤 X, 마틴 루터 킹, 메드가 에버스 등 시민권 운동 지도자들의 삶과 미국의 인종차별 문제를 조명하며 토론토 국제 영화제 관객상과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최고 다큐멘터리상을 수상했다. - 콜라주 영화 - 에이미 (2015년 영화)
《에이미》는 아시프 카파디아 감독이 2015년에 발표한 다큐멘터리 영화로, 27세에 사망한 영국 싱어송라이터 에이미 와인하우스의 삶과 음악, 그리고 비극적인 죽음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심층적으로 조명한다. - 포스트모던 영화 - 펄프 픽션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의 1994년 미국 범죄 영화 《펄프 픽션》은 비선형적 서사 구조와 얽히고설킨 세 가지 이야기, 독특한 순환 구조를 통해 폭력, 운명, 자유 의지, 구원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영화계와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포스트모던 영화 - 라라랜드
《라라랜드》는 재즈 피아니스트 세바스찬과 배우 지망생 미아가 만나 꿈과 사랑을 나누지만 현실적인 어려움으로 헤어지는 과정을 그린 2016년 미국 로맨틱 뮤지컬 영화로, 5년 후 재회하는 장면은 평행세계를 암시하는 여운을 남긴다. - 아이슬란드에서 촬영한 영화 -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파이어 사가 스토리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파이어 사가 스토리는 아이슬란드 밴드 파이어 사가가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서 우승하기 위한 여정을 코믹하게 그린 영화이며, 예상치 못한 사건과 음모 속에서 진정한 가치를 깨닫는 내용을 담고 있다. - 아이슬란드에서 촬영한 영화 - 프로메테우스 (영화)
리들리 스콧 감독의 2012년 공상과학 영화 《프로메테우스》는 고대 유적의 우주 지도를 따라 인류 기원을 찾는 탐험대의 여정을 그리며, 인류 창조주 엔지니어의 비밀과 인간의 욕망, 오만함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작품으로, 누미 라파스, 마이클 패스벤더, 샤를리즈 테론 등이 출연했고 시각 효과와 철학적 주제 의식으로 호평과 비판을 받았으며 흥행에 성공하여 《에이리언: 커버넌트》라는 후속편을 낳았다.
태양 없이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Sans soleil |
국가 | 프랑스 |
언어 | 프랑스어 |
제작 정보 | |
감독 | 크리스 마르케르 |
각본 | 크리스 마르케르 (산도르 크라스나 명의) |
음악 | 크리스 마르케르 (미셸 크라스나 명의) |
촬영 | 크리스 마르케르 (산도르 크라스나 명의) |
편집 | 크리스 마르케르 |
배급사 | Argos Films |
출연 | |
프랑스어판 해설 | 플로랑스 들레 |
일본어판 해설 | 이케다 리요코 |
독일어판 해설 | Charlotte Kerr |
영어판 해설 | 알렉산드라 스튜어트 |
기타 정보 | |
장르 | 다큐멘터리 |
개봉일 | 1983년 |
상영 시간 | 100분 |
2. 제작 배경
《태양 없이》는 16mm 보리유 무성 영화 카메라와 동기화되지 않는 휴대용 테이프 레코더를 사용하여 촬영되었으며, 일부 스톡 푸티지는 EMS 스펙터 비디오 신디사이저로 채색되었다.[6][7]
이 영화는 크리스 마르케가 정치적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자신의 저자 서명을 축소하는 것을 선호했던 1970년대에 대부분 제작되었다. 이는 그가 영화에서 산도르 크라스나의 편지로 표현된 이유를 부분적으로 설명한다.[9]
2. 1. 참여 스태프
조감독은 피에르 카뮈, 보조 편집자는 안-마리 로트와 카트린 아다, 믹싱은 앙투안 봉파티와 폴 베르토가 담당했다.[8] 내레이션에 언급되지 않은 푸티지를 사용한 영화 제작자로는 사나 나 나다, 장-미셸 휴모, 마리오 마렛, 에우제니오 벤티볼리오, 다니엘 테시에가 있다.[8]3. 영화 속 인용
영화 제목인 ''태양 없이(Sans Soleil)''는 모데스트 무소르그스키의 연가곡집 태양 없이에서 가져온 것이다.[4]
''태양 없이''의 프랑스어 원본은 장 라신이 그의 비극 바야제 (1672)의 두 번째 서문에서 인용한 다음 문구로 시작한다.
> "L'éloignement des pays répare en quelque sorte la trop grande proximité des temps."
(나라 간의 거리는 시대의 지나친 근접성을 어느 정도 보상한다.)
마커는 영화의 영어 버전에서 이 인용구를 T. S. 엘리엇이 쓴 재의 수요일 (1930)에서 발췌한 다음 인용구로 대체했다.
> "Because I know that time is always time
> And place is always and only place"...
>
> (And what is actual is actual only for one time
> And only for one place.)[5]
4. 다른 작품과의 관계
샌프란시스코 시퀀스는 앨프레드 히치콕의 1958년 영화 ''현기증''과 마르케의 1962년 영화 ''제트''를 참고했다. 마르케가 하야오 야마네코의 이미지가 변환되는 공간을 묘사하기 위해 "더 존(The Zone)"이라는 이름을 사용한 것은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의 1979년 영화 ''잠입자''에 대한 오마주이며, 이 내용은 영화에서 읽히는 편지 중 하나에 언급되어 있다.[2]
영국의 록 밴드 카사비안은 2009년 앨범 ''West Ryder Pauper Lunatic Asylum''의 "West Ryder Silver Bullet" 곡 시작 부분에서 이 다큐멘터리의 음성 클립을 사용했다.
5. 평가
《태양 없이》는 비평가들의 극찬을 받았으며, 많은 "최고의 영화"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 ''데일리 텔레그래프'' 선정 "토이 스토리부터 싸이코까지: 역대 최고의 영화 100편" (2019년): 62위[10]
- ''사이트 앤 사운드'' 선정 "비평가들이 선정한 역대 최고의 다큐멘터리 50편" (2014년): 3위[11][12]
하지만 모든 평론가들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은 아니다. 가디언 지의 피터 브래드쇼는 별 5개 중 3개를 부여하며 "때로는 당혹스럽고, 종종 흥미로우며, 가끔은 불필요하다. 도시의 혼란과 게릴라전에 대한 수정된 비디오 이미지와 무그 신시사이저 악보는 다소 진부해 보인다."라고 평했다.[13] 뉴욕 타임스의 빈센트 캔비는 "마커 씨는 현대 사회의 모습을 관찰하는 척하지만, 실제로는 우리 세상에 대한 자신의 일관성이 없고, 그다지 흥미롭지도 않은 반응을 관찰하고 있다. 《태양 없이》는 가장 열성적인 마커 연구자들을 제외하고는 모든 사람을 차단하는 완전히 자기 도취적인 영화이다."라며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14]
6. 해설
이 영화는 다양한 언어판으로 제작되었으며, 각 언어판마다 다른 해설자가 참여했다.
언어 | 해설자 |
---|---|
프랑스어 | 플로랑스 들레[1] |
일본어 | 이케다 리요코[2] |
독일어 | 샤를로테 케어[3] |
영어 | 알렉산드라 스튜어트[4] |
참조
[1]
웹사이트
BFI/Sight & Sound: Greatest Documentaries of All Time {{!}} 2014 - Movie list
https://mubi.com/lis[...]
2023-06-16
[2]
뉴스
Personal Effects: The Guarded Intimacy of Sans Soleil
http://www.criterion[...]
The Criterion Collection
2018-02-13
[3]
뉴스
Letter to Theresa by Chris Marker – Behind the Veils of Sans Soleil {{!}} Chris Marker
http://chrismarker.o[...]
Chris Marker
2018-02-13
[4]
서적
Thoughts on images: a philosophical evaluation by Jarmo Valkola
https://books.google[...]
Zeta Books
2020-05-24
[5]
문서
Racine/Eliot
Criterion
[6]
문서
Notes on Filmmaking
Criterion
[7]
서적
Chris Marker : memories of the future
https://archive.org/[...]
Reaktion Books
[8]
간행물
Pictures: Sans Soleil
1983-04-13
[9]
간행물
In Search of the Centaur: The Essay-Film
1992
[10]
뉴스
From Toy Story to Psycho: the 100 greatest films of all time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2017-09-08
[11]
웹사이트
The Greatest Documentaries of All Time | Sight & Sound
https://www2.bfi.org[...]
2019-04-25
[12]
뉴스
Silent film tops documentary poll
https://www.bbc.com/[...]
BBC News
2014-08-01
[13]
뉴스
Film: Sans Soleil
http://www.theguardi[...]
The Guardian
2002-11-15
[14]
뉴스
Film: 'Sans Soleil,' Views of Peopl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83-10-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